바쁘게 일하다 보면 놓치기 쉬운 정보중에 돈을 받을 수 있는 정보는 놓치면 안되겠죠? 근로장려금이라는 근로자 또는 사업자를 위한 지원금이 있어서 정보를 알려드립니다. 꼭 챙겨 받으세요.
근로장려금
근로장려금이란
돈을 벌기 위해서 일은 하지만 월급이나 일당이 적어서 기본적인 일상 생활이 어려운 근로자나 사업자 가정을 위해서 일부 조건에 해당한다면 '근로장려금' 을 나라에서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쉬지말고 일하라는 것이 아닌 최소한의 노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이 정책은 근로를 장려하고 실직소득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하는 '근로연계형 소득지원 제도' 입니다.
근로장려금 신청기간(2024년)
▶2023년 하반기 : 24년 3월 1일(금) 부터 24년 3월 15일(금) 까지 산정
- 정기신청 : 24년 5월 1일(수) 부터 24년 5월 31일(금) 까지
▶기한 후 신청의 경우 : 24년 6월 1일(토) 부터 24년 11월 30일(토) 까지
▶ 2024년 상반기 : 24년 9월 1일(일) 부터 24년 9월 15일(일) 까지
근로장려금 신청 방법
신청 안내문을 받은 경우
[ARS 신청법]
▶ 1544 - 9944 번으로 전화걸기 → 1번 누르기 → 주민번호 13자리 입력하고 # 누르기 → 부여받은 개별인증번호 8자리 누르고 # 누르기 → 1번 누르기 → 연락처 및 계좌번호 확인하기 → 신청종료
[홈텍스 신청법]
▶ 모바일 : 손택스 앱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합니다. → 전체메뉴로 들어가서 장려금을 선택합니다. → 연말정산 선택 → 전자기부금 선택 → 근로 메뉴 → 자녀장려금 정기 혹은 반기 신청을 선택합니다. → 진행
모바일 손택스 다운로드(안드로이드) |
근로장려금 신청 조건
소득 요건
▶ 단독 가구일 경우 : 연소득 2,200만원 미만 해당
▶ 홑벌이 가구 : 연소득 3,200만원 미만 해당
▶ 맞벌이 가구 : 연소득 3,800만원 미만 해당
재산 요건
▶ 직전년도 6월 1일 기준하여 가구원 전체 재산 합계가 2억 4천만원 미만인 경우에 해당합니다.(이때 부채금액은 차감되지 않습니다.)
신청 제외되는 요건
▶ 전문직 종사자 그리고 대한민국 국적 미보유자는 선정에서 제외됩니다. 전문직 종사자는 아마도 개별 세무회계사가 관리를 해주시겠네요.
근로장려금 지원금액
단독 가구
▶ 165만원이 지원됩니다.
주민등록상 배우자 및 부양하는 직계존속이 없는 가구일 경우입니다.
홑벌이 가구
▶ 285만원이 지원됩니다.
배우자 또는 부양자녀 그리고 70세 이상 직계존속이 있는 가정이 해당됩니다.
배우자의 총급여액이 3백만원을 초과하지 않아야 합니다.
부양자녀 또는 70세 이상 직계존속이 연간 소득액이 100만원 이하인 경우에 해당됩니다.
맞벌이 가구
▶ 330만원이 지원됩니다.
신청인과 그 배우자의 각각 총급여액이 300만원 이하인 경우에 해당됩니다.
근로장려금 지금일
지급일
▶ 23년 하반기분 : 24년 6월에 지급됩니다.
▶ 23년 전체 해당분 : 24년 8월에 지급됩니다.
▶ 23년 상반기 해당분 : 24년 12월에 지급됩니다.
근로장려금 감액에 해당되는 경우
재산합계액으로 구분
▶ 재산합계액이 1억 7천만원 이상, 2억 4천만원 미만의 경우 : 장려금의 50% 해당액만 지급합니다. 만약 기한내에 시청하지 못했을 경우는 장려금의 95% 만 지급됩니다. 주의가 필요해요. 늦지 않도록 합시다.
자녀공제액
▶ 소득세자녀세액공제, 자녀장려금을 중복으로 신청한 경우 : 자녀세액공제금액을 차감합니다. 만약 체납세액이 있는 경우 환급금액의 30%를 한도로 하여 체냅액에서 충당합니다.
세금은 미루지도 말고 미납도 하지 맙시다.
환수
▶ 이미 지급한 장려금이 환수되는 경우 : 가산세가 부과됩니다.(하루 1일 초과당 22 / 100,000 의 금액)
근로장려금 금액
근로장려금 지급금액이 적다 적어
나라에서 근로를 장려하기 위해서 주는 혜택임에는 틀림없지만 해당 되는 가구가 얼마나 있을지 궁금하기도 합니다. 그래도 자본주의 시장에서 어렵게 생활을 하시는 분들 또한 있기에 이런 지원 제도가 있다는 건 다행이고 감사하기도 합니다. 낮은 기준이라 할지라도 해당되는 구간에서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을 받으시는 분들이 계셨으면 하며 또 모르고 못받는 일도 없었으면 하네요.
끝.